코스모스가 우리에게 던지는 새로운 관점

휴튼 글쟁이
2023년 4월 20일
<p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AppleSDGothic, &quot;apple sd gothic neo&quot;, &quot;noto sans korean&quot;, &quot;noto sans korean regular&quot;, &quot;noto sans cjk kr&quot;, &quot;noto sans cjk&quot;, &quot;nanum gothic&quot;, &quot;malgun gothic&quot;, dotum, arial, helvetica, &quot;MS Gothic&quot;, sans-serif; font-size: 16px; margin-bottom: 0px !important;">제가 고등학생 때부터 줄곧 목표로 삼아온 것이 있는데요, 바로&nbsp;<span class="stb-bold stb-fore-colored" style="font-weight: bold; color: rgb(237, 111, 99);">칼 세이건의 &lt;코스모스&gt; 독파하기</span>입니다. 책을 많이 읽지 않는 사람들도 한번쯤은 들어봤을만한 책이고, 저와 같이 책 욕심이 많은 사람은 언젠간 한번 꼭 읽어보고 싶은 책이기도 하죠.</p><p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AppleSDGothic, &quot;apple sd gothic neo&quot;, &quot;noto sans korean&quot;, &quot;noto sans korean regular&quot;, &quot;noto sans cjk kr&quot;, &quot;noto sans cjk&quot;, &quot;nanum gothic&quot;, &quot;malgun gothic&quot;, dotum, arial, helvetica, &quot;MS Gothic&quot;, sans-serif; font-size: 16px; margin-bottom: 0px !important;"><br></p><p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AppleSDGothic, &quot;apple sd gothic neo&quot;, &quot;noto sans korean&quot;, &quot;noto sans korean regular&quot;, &quot;noto sans cjk kr&quot;, &quot;noto sans cjk&quot;, &quot;nanum gothic&quot;, &quot;malgun gothic&quot;, dotum, arial, helvetica, &quot;MS Gothic&quot;, sans-serif; font-size: 16px; margin-bottom: 0px !important;">가볍게 소개드리면, &lt;코스모스&gt;는 1980년에 출간된 고전이고 지금까지도&nbsp;<span class="stb-bold" style="font-weight: bold;">필수 교양서</span>로 손꼽히는 책입니다. 천재성과 대중성을 모두 겸비한 천문학자&nbsp;<span class="stb-bold" style="font-weight: bold;">칼 세이건</span>이 집필하였는데, 책을 읽어보시면 왜 그가 그토록 대중적인 인기가 많았는지 이해되기도 합니다.</p><p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AppleSDGothic, &quot;apple sd gothic neo&quot;, &quot;noto sans korean&quot;, &quot;noto sans korean regular&quot;, &quot;noto sans cjk kr&quot;, &quot;noto sans cjk&quot;, &quot;nanum gothic&quot;, &quot;malgun gothic&quot;, dotum, arial, helvetica, &quot;MS Gothic&quot;, sans-serif; font-size: 16px; margin-bottom: 0px !important;"><br></p><p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AppleSDGothic, &quot;apple sd gothic neo&quot;, &quot;noto sans korean&quot;, &quot;noto sans korean regular&quot;, &quot;noto sans cjk kr&quot;, &quot;noto sans cjk&quot;, &quot;nanum gothic&quot;, &quot;malgun gothic&quot;, dotum, arial, helvetica, &quot;MS Gothic&quot;, sans-serif; font-size: 16px; margin-bottom: 0px !important;">그런데 사실 선뜻 시작하기 어려운 책이기도 합니다. 그 이유는 크게 두 가지인데요,</p><p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AppleSDGothic, &quot;apple sd gothic neo&quot;, &quot;noto sans korean&quot;, &quot;noto sans korean regular&quot;, &quot;noto sans cjk kr&quot;, &quot;noto sans cjk&quot;, &quot;nanum gothic&quot;, &quot;malgun gothic&quot;, dotum, arial, helvetica, &quot;MS Gothic&quot;, sans-serif; font-size: 16px; margin-bottom: 0px !important;"><br></p><p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AppleSDGothic, &quot;apple sd gothic neo&quot;, &quot;noto sans korean&quot;, &quot;noto sans korean regular&quot;, &quot;noto sans cjk kr&quot;, &quot;noto sans cjk&quot;, &quot;nanum gothic&quot;, &quot;malgun gothic&quot;, dotum, arial, helvetica, &quot;MS Gothic&quot;, sans-serif; font-size: 16px; margin-bottom: 0px !important;"><span class="stb-bold stb-fore-colored" style="font-weight: bold; color: rgb(237, 111, 99);">1. 어려운 주제.</span>&nbsp;우주는 늘 인간에게 호기심과 경외의 대상이었지만, 사실 대중이 쉽게 다가가기 어려운 존재이기도 합니다. 성간운, 퀘이사, 쌍성계, 상대성이론, 광학 기술, 초신성, 은하단, 핵융합 반응 등, 책의 아무 페이지나 펼쳐 나오는 단어를 나열해봐도 머리가 지끈거립니다.</p><p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AppleSDGothic, &quot;apple sd gothic neo&quot;, &quot;noto sans korean&quot;, &quot;noto sans korean regular&quot;, &quot;noto sans cjk kr&quot;, &quot;noto sans cjk&quot;, &quot;nanum gothic&quot;, &quot;malgun gothic&quot;, dotum, arial, helvetica, &quot;MS Gothic&quot;, sans-serif; font-size: 16px; margin-bottom: 0px !important;"><br></p><p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AppleSDGothic, &quot;apple sd gothic neo&quot;, &quot;noto sans korean&quot;, &quot;noto sans korean regular&quot;, &quot;noto sans cjk kr&quot;, &quot;noto sans cjk&quot;, &quot;nanum gothic&quot;, &quot;malgun gothic&quot;, dotum, arial, helvetica, &quot;MS Gothic&quot;, sans-serif; font-size: 16px; margin-bottom: 0px !important;"><span class="stb-bold stb-fore-colored" style="font-weight: bold; color: rgb(237, 111, 99);">2. 두께.</span>&nbsp;1번보다 더 큰 이유입니다. 이 책은 무려 700쪽에 달하거든요. 엄청난 유명세에 호기심이 생기다가도 그 두께에 지레 겁먹고 포기하게 됩니다.</p><p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AppleSDGothic, &quot;apple sd gothic neo&quot;, &quot;noto sans korean&quot;, &quot;noto sans korean regular&quot;, &quot;noto sans cjk kr&quot;, &quot;noto sans cjk&quot;, &quot;nanum gothic&quot;, &quot;malgun gothic&quot;, dotum, arial, helvetica, &quot;MS Gothic&quot;, sans-serif; font-size: 16px; margin-bottom: 0px !important;"><br></p><p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AppleSDGothic, &quot;apple sd gothic neo&quot;, &quot;noto sans korean&quot;, &quot;noto sans korean regular&quot;, &quot;noto sans cjk kr&quot;, &quot;noto sans cjk&quot;, &quot;nanum gothic&quot;, &quot;malgun gothic&quot;, dotum, arial, helvetica, &quot;MS Gothic&quot;, sans-serif; font-size: 16px; margin-bottom: 0px !important;">하지만 이 책에 먼지만 덮어씌워 놓는 것이 늘 제 마음 속에서 부채처럼 자리하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무려 3개월 동안 천천히, 조금씩 읽었고 드디어 지난 달에 마지막 페이지를 넘겼습니다. 19살 때 세운 목표를 30살이 되어서야 이뤘네요.</p><p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AppleSDGothic, &quot;apple sd gothic neo&quot;, &quot;noto sans korean&quot;, &quot;noto sans korean regular&quot;, &quot;noto sans cjk kr&quot;, &quot;noto sans cjk&quot;, &quot;nanum gothic&quot;, &quot;malgun gothic&quot;, dotum, arial, helvetica, &quot;MS Gothic&quot;, sans-serif; font-size: 16px; margin-bottom: 0px !important;"><br></p><p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AppleSDGothic, &quot;apple sd gothic neo&quot;, &quot;noto sans korean&quot;, &quot;noto sans korean regular&quot;, &quot;noto sans cjk kr&quot;, &quot;noto sans cjk&quot;, &quot;nanum gothic&quot;, &quot;malgun gothic&quot;, dotum, arial, helvetica, &quot;MS Gothic&quot;, sans-serif; font-size: 16px; margin-bottom: 0px !important;">이 책을 읽으며 정말 많은 것을 느꼈는데요, <span class="stb-bold" style="font-weight: bold;">세 가지</span>&nbsp;키워드로 소개드리려 합니다.</p><p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AppleSDGothic, &quot;apple sd gothic neo&quot;, &quot;noto sans korean&quot;, &quot;noto sans korean regular&quot;, &quot;noto sans cjk kr&quot;, &quot;noto sans cjk&quot;, &quot;nanum gothic&quot;, &quot;malgun gothic&quot;, dotum, arial, helvetica, &quot;MS Gothic&quot;, sans-serif; font-size: 16px; margin-bottom: 0px !important;"><br></p><p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AppleSDGothic, &quot;apple sd gothic neo&quot;, &quot;noto sans korean&quot;, &quot;noto sans korean regular&quot;, &quot;noto sans cjk kr&quot;, &quot;noto sans cjk&quot;, &quot;nanum gothic&quot;, &quot;malgun gothic&quot;, dotum, arial, helvetica, &quot;MS Gothic&quot;, sans-serif; font-size: 16px; margin-bottom: 0px !important;"><span class="stb-underline" style="text-decoration-line: underline;"><span class="stb-bold" style="font-weight: bold; font-size: 20px;">1. 관점</span></span></p><p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AppleSDGothic, &quot;apple sd gothic neo&quot;, &quot;noto sans korean&quot;, &quot;noto sans korean regular&quot;, &quot;noto sans cjk kr&quot;, &quot;noto sans cjk&quot;, &quot;nanum gothic&quot;, &quot;malgun gothic&quot;, dotum, arial, helvetica, &quot;MS Gothic&quot;, sans-serif; font-size: 16px; margin-bottom: 0px !important;">대다수의 사람들은 보통&nbsp;<span class="stb-bold" style="font-weight: bold;">‘나’라는 한 개인의 관점</span>으로만 세상을 바라봅니다. 여기서 조금 더 확장하면&nbsp;<span class="stb-bold stb-fore-colored" style="font-weight: bold; color: rgb(237, 111, 99);">‘인간’이라는 종의 관점</span>으로 세상을 바라볼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보면 또 다르게 보이는 것들이 있어요. 저는 유발 하라리의&nbsp;<span class="stb-bold" style="font-weight: bold;">&lt;사피엔스&gt;</span>를 한 다섯 번 읽고 이런 관점이 조금이나마 생긴 것 같습니다. &lt;사피엔스&gt;는 호모 사피엔스의 역사를 다룬 책이고 저의 인생책 중 하나입니다.</p><p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AppleSDGothic, &quot;apple sd gothic neo&quot;, &quot;noto sans korean&quot;, &quot;noto sans korean regular&quot;, &quot;noto sans cjk kr&quot;, &quot;noto sans cjk&quot;, &quot;nanum gothic&quot;, &quot;malgun gothic&quot;, dotum, arial, helvetica, &quot;MS Gothic&quot;, sans-serif; font-size: 16px; margin-bottom: 0px !important;"><br></p><p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AppleSDGothic, &quot;apple sd gothic neo&quot;, &quot;noto sans korean&quot;, &quot;noto sans korean regular&quot;, &quot;noto sans cjk kr&quot;, &quot;noto sans cjk&quot;, &quot;nanum gothic&quot;, &quot;malgun gothic&quot;, dotum, arial, helvetica, &quot;MS Gothic&quot;, sans-serif; font-size: 16px; margin-bottom: 0px !important;">예를 들면 이런 게 있습니다.</p><p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AppleSDGothic, &quot;apple sd gothic neo&quot;, &quot;noto sans korean&quot;, &quot;noto sans korean regular&quot;, &quot;noto sans cjk kr&quot;, &quot;noto sans cjk&quot;, &quot;nanum gothic&quot;, &quot;malgun gothic&quot;, dotum, arial, helvetica, &quot;MS Gothic&quot;, sans-serif; font-size: 16px; margin-bottom: 0px !important;"><br></p><p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AppleSDGothic, &quot;apple sd gothic neo&quot;, &quot;noto sans korean&quot;, &quot;noto sans korean regular&quot;, &quot;noto sans cjk kr&quot;, &quot;noto sans cjk&quot;, &quot;nanum gothic&quot;, &quot;malgun gothic&quot;, dotum, arial, helvetica, &quot;MS Gothic&quot;, sans-serif; font-size: 16px; margin-bottom: 0px !important;">미국이 영국의 식민지였을 때, 미국의 독립선언서를 작성한 사람들 중 대다수가&nbsp;<span class="stb-bold" style="font-weight: bold;">흑인 노예 소유주</span>였다고 해요. 이 부분이 저에게는 충격이었습니다. '아니 미국인들에게 정의를 가져다준 그들이 그렇게나 나쁜 사람이었다니!'가 아닙니다. 그 당시에는 흑인 노예를 소유하는 것이 정의로운 것과는 별개였다는 사실 때문입니다.</p><p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AppleSDGothic, &quot;apple sd gothic neo&quot;, &quot;noto sans korean&quot;, &quot;noto sans korean regular&quot;, &quot;noto sans cjk kr&quot;, &quot;noto sans cjk&quot;, &quot;nanum gothic&quot;, &quot;malgun gothic&quot;, dotum, arial, helvetica, &quot;MS Gothic&quot;, sans-serif; font-size: 16px; margin-bottom: 0px !important;"><br></p><p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AppleSDGothic, &quot;apple sd gothic neo&quot;, &quot;noto sans korean&quot;, &quot;noto sans korean regular&quot;, &quot;noto sans cjk kr&quot;, &quot;noto sans cjk&quot;, &quot;nanum gothic&quot;, &quot;malgun gothic&quot;, dotum, arial, helvetica, &quot;MS Gothic&quot;, sans-serif; font-size: 16px; margin-bottom: 0px !important;">그러니까 이런 겁니다. 지금의 관점으로는 흑인을 노예로 소유한다는 것은 상상조차 할 수 없는 일입니다.&nbsp;<span class="stb-bold" style="font-weight: bold;">그렇다면 과거 미국 독립선언서에 서명을 한 사람들이 악한 사람들이었기 때문에 흑인 노예를 소유하고 있던 걸까요?</span>&nbsp;유발 하라리는 그렇지 않다고 말합니다. 그들이 악한 사람들인 것이 아니라, 당시에는 그게 당연했다는 겁니다. 그러니까&nbsp;<span class="stb-bold stb-fore-colored" style="font-weight: bold; color: rgb(237, 111, 99);">흑인 노예를 소유하는 것은 옳고 그름의 영역이 아니었다는 것이죠.</span></p><p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AppleSDGothic, &quot;apple sd gothic neo&quot;, &quot;noto sans korean&quot;, &quot;noto sans korean regular&quot;, &quot;noto sans cjk kr&quot;, &quot;noto sans cjk&quot;, &quot;nanum gothic&quot;, &quot;malgun gothic&quot;, dotum, arial, helvetica, &quot;MS Gothic&quot;, sans-serif; font-size: 16px; margin-bottom: 0px !important;"><br></p><p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AppleSDGothic, &quot;apple sd gothic neo&quot;, &quot;noto sans korean&quot;, &quot;noto sans korean regular&quot;, &quot;noto sans cjk kr&quot;, &quot;noto sans cjk&quot;, &quot;nanum gothic&quot;, &quot;malgun gothic&quot;, dotum, arial, helvetica, &quot;MS Gothic&quot;, sans-serif; font-size: 16px; margin-bottom: 0px !important;">이 내용이 저에게는 관점을 크게 확장시켜주는 부분이었습니다. 그렇다면 오늘날 우리가 당연하게 행하고 있는 것들 중에서도 먼 미래에 명백히 부도덕한 행위라고 여겨지는 것이 있지 않을까요? 반대로, 지금 우리가 옳지 않다고 생각하는 것들이 미래에는 칭송받을 수도 있지 않을까요?</p><p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AppleSDGothic, &quot;apple sd gothic neo&quot;, &quot;noto sans korean&quot;, &quot;noto sans korean regular&quot;, &quot;noto sans cjk kr&quot;, &quot;noto sans cjk&quot;, &quot;nanum gothic&quot;, &quot;malgun gothic&quot;, dotum, arial, helvetica, &quot;MS Gothic&quot;, sans-serif; font-size: 16px; margin-bottom: 0px !important;"><br></p><p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AppleSDGothic, &quot;apple sd gothic neo&quot;, &quot;noto sans korean&quot;, &quot;noto sans korean regular&quot;, &quot;noto sans cjk kr&quot;, &quot;noto sans cjk&quot;, &quot;nanum gothic&quot;, &quot;malgun gothic&quot;, dotum, arial, helvetica, &quot;MS Gothic&quot;, sans-serif; font-size: 16px; margin-bottom: 0px !important;">이렇게 긴 역사의 관점으로 보면,&nbsp;<span class="stb-bold stb-fore-colored" style="font-weight: bold; color: rgb(237, 111, 99);">지금 우리가 당연하다고 여기는 것들이 결코 당연하지 않을 수도 있다고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span><br><br>그런데 사실 온 우주를 통틀어 보면, &lt;사피엔스&gt;를 통해 얻어지는 인류의 관점이라는 것 역시 너무 사소하고 단편적입니다. 그보다 훨씬 큰&nbsp;<span class="stb-bold" style="font-weight: bold;">우주의 관점</span><span style="font-size: 12px;">(이라고 하면 사이비처럼 들리지만)</span>을 보여주는 책이 있으니 그게 바로 칼 세이건의 &lt;코스모스&gt;입니다. 우주는 우리가 감히 상상할 수 있는 것보다 훨씬x100 거대하기 때문에, 이런 관점을 접해보는 것은 사고에 많은 영향을 미칩니다.</p><p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AppleSDGothic, &quot;apple sd gothic neo&quot;, &quot;noto sans korean&quot;, &quot;noto sans korean regular&quot;, &quot;noto sans cjk kr&quot;, &quot;noto sans cjk&quot;, &quot;nanum gothic&quot;, &quot;malgun gothic&quot;, dotum, arial, helvetica, &quot;MS Gothic&quot;, sans-serif; font-size: 16px; margin-bottom: 0px !important;"><br></p><p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AppleSDGothic, &quot;apple sd gothic neo&quot;, &quot;noto sans korean&quot;, &quot;noto sans korean regular&quot;, &quot;noto sans cjk kr&quot;, &quot;noto sans cjk&quot;, &quot;nanum gothic&quot;, &quot;malgun gothic&quot;, dotum, arial, helvetica, &quot;MS Gothic&quot;, sans-serif; font-size: 16px; margin-bottom: 0px !important;"><span class="stb-underline" style="text-decoration-line: underline;"><span class="stb-bold" style="font-weight: bold; font-size: 20px;">2. 과학</span></span></p><p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AppleSDGothic, &quot;apple sd gothic neo&quot;, &quot;noto sans korean&quot;, &quot;noto sans korean regular&quot;, &quot;noto sans cjk kr&quot;, &quot;noto sans cjk&quot;, &quot;nanum gothic&quot;, &quot;malgun gothic&quot;, dotum, arial, helvetica, &quot;MS Gothic&quot;, sans-serif; font-size: 16px; margin-bottom: 0px !important;">책에서 특히 흥미로웠던 부분은, 우주는 우리가 인지할 수 있는 수준을 넘을 만큼 거대하지만 그럼에도&nbsp;<span class="stb-bold stb-fore-colored" style="font-weight: bold; color: rgb(237, 111, 99);">인간의 사고로 유추해볼 수는 있다는 것</span>입니다. 그 이유는 우주는 제아무리 구석진 곳이어도 그게 어디든&nbsp;<span class="stb-bold" style="font-weight: bold;">공통되고 근본적인 원리</span>에 입각해 꽤나 많은 부분을 예측할 수 있기 때문이죠(=과학). 적어도 논리적으로 추론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참고로 “코스모스”란&nbsp;<span class="stb-bold" style="font-weight: bold;">일련의 규칙, 질서</span>를 뜻합니다.<br><br>아주 옛날부터 인간은 우주에 대한 온갖 상상을 해왔는데, 과학을 통해 훌륭하게 추론해낼 수 있습니다. 우주 저 멀리에는 무엇이 있는지, 아주 먼 과거의 우주는 어땠는지, 아주 먼 미래의 우주는 어떨지까지도요.<br><br>비유하자면 완전히 깜깜하고 끝도 없이 깊은 동굴을 바라보고 서있는데, 직접 들어가보지 않고도 수학과 과학과 논리만으로 그 안에 뭐가 있는지 대략적으로 맞출 수 있다는 겁니다. 경이롭지 않나요?<br><br>기초 학문의 매력이 여기에 있는 것 같습니다. 사실 인간이 만들어내는 건 다 일시적입니다. 예를 들어 우리가 그토록 위대하다고 얘기하는 애플, 아마존 같은 기업들마저도 모두 한 순간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존재에 불과하죠. 아주 길게 보면, 인간이 만들어낸 모든 것은 이내 사라지고 또 다른 게 생기고 사라지는 라이프사이클을 따릅니다. 그게 문명이든 국가든 기업이든 예외는 없습니다. 누구는 그래서 아름답다고도 하지만 그래서 허무하기도 합니다.<br><br>그런데 과학적 지식은 그렇지 않습니다. 우주의 원리에 대한 우리의 지식은 오직 누적되기만 합니다. 소멸하지 않습니다. 인간이 과학을 잘못 이해하여 돌아갈 수는 있을지언정, 발견한 것이 사라지지는 않습니다. 물리 원칙은 늘 그 자리에 있기 때문에 우리는 그걸 밝혀내기만 하면 되는 것이죠.<br><br>이를 위해 책에서는 “과학은 스스로에게 끊임없이 질문을 던지고 제안의 사실 여부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하고 관찰한다“고 말합니다. 깊이 인상적인 문장이었습니다.</p><p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AppleSDGothic, &quot;apple sd gothic neo&quot;, &quot;noto sans korean&quot;, &quot;noto sans korean regular&quot;, &quot;noto sans cjk kr&quot;, &quot;noto sans cjk&quot;, &quot;nanum gothic&quot;, &quot;malgun gothic&quot;, dotum, arial, helvetica, &quot;MS Gothic&quot;, sans-serif; font-size: 16px; margin-bottom: 0px !important;"><br></p><p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AppleSDGothic, &quot;apple sd gothic neo&quot;, &quot;noto sans korean&quot;, &quot;noto sans korean regular&quot;, &quot;noto sans cjk kr&quot;, &quot;noto sans cjk&quot;, &quot;nanum gothic&quot;, &quot;malgun gothic&quot;, dotum, arial, helvetica, &quot;MS Gothic&quot;, sans-serif; font-size: 16px; margin-bottom: 0px !important;"><span class="stb-underline" style="text-decoration-line: underline; font-size: 20px;"><span class="stb-bold" style="font-weight: bold;">3. 인간</span></span></p><p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AppleSDGothic, &quot;apple sd gothic neo&quot;, &quot;noto sans korean&quot;, &quot;noto sans korean regular&quot;, &quot;noto sans cjk kr&quot;, &quot;noto sans cjk&quot;, &quot;nanum gothic&quot;, &quot;malgun gothic&quot;, dotum, arial, helvetica, &quot;MS Gothic&quot;, sans-serif; font-size: 16px; margin-bottom: 0px !important;"><span class="stb-bold stb-fore-colored" style="font-weight: bold; color: rgb(237, 111, 99);">인간은 진짜 미미한 존재입니다.</span>&nbsp;우주의 관점에서 봤을 때 정말 먼지만도 못한 존재입니다. 칼 세이건의 표현을 빌리면 인간은 “10억 분의 1도 채 안 되는 짧은 시간 동안 반짝하고 사라지는” 우스울 정도로 하찮은 존재에 불과합니다. 그런데 그래서 더욱더 대단한 점이 있습니다.<br><br>그것은 바로&nbsp;<span class="stb-bold" style="font-weight: bold;">자신이 감히 인식할 수 없는 규모를 이해하려고 하는 시도</span>입니다. 정말 찰나의 순간만을 살다 가는 인간이, 이 광활한 우주에서 너무도 취약한 존재인 인간이 자신이 살고 있는 우주 전체를 이해하려 한다는 것이죠. 그게 정말 놀라운 점입니다.</p><p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AppleSDGothic, &quot;apple sd gothic neo&quot;, &quot;noto sans korean&quot;, &quot;noto sans korean regular&quot;, &quot;noto sans cjk kr&quot;, &quot;noto sans cjk&quot;, &quot;nanum gothic&quot;, &quot;malgun gothic&quot;, dotum, arial, helvetica, &quot;MS Gothic&quot;, sans-serif; font-size: 16px; margin-bottom: 0px !important;"><br></p><p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AppleSDGothic, &quot;apple sd gothic neo&quot;, &quot;noto sans korean&quot;, &quot;noto sans korean regular&quot;, &quot;noto sans cjk kr&quot;, &quot;noto sans cjk&quot;, &quot;nanum gothic&quot;, &quot;malgun gothic&quot;, dotum, arial, helvetica, &quot;MS Gothic&quot;, sans-serif; font-size: 16px; margin-bottom: 0px !important;">우주가 탄생한 시점이라고 불리는 빅뱅은&nbsp;<span class="stb-bold" style="font-weight: bold;">138억년 전</span>에 일어났습니다. 지구의 나이는 약&nbsp;<span class="stb-bold" style="font-weight: bold;">45억 살</span>입니다. 최초의 인류라고 불리는 오스트랄로피테쿠스가 지구에 처음 등장한 시점은&nbsp;<span class="stb-bold" style="font-weight: bold;">300만~350만년</span>&nbsp;전입니다. 인류가 우주를 '과학적인 방법으로' 이해해보려는 시도를 처음 시작한 건 기원전 6세기 이오니아에서입니다. 그래서 칼 세이건은 "과학은 이오니아에서 태어났다"고 말합니다.&nbsp;</p><p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AppleSDGothic, &quot;apple sd gothic neo&quot;, &quot;noto sans korean&quot;, &quot;noto sans korean regular&quot;, &quot;noto sans cjk kr&quot;, &quot;noto sans cjk&quot;, &quot;nanum gothic&quot;, &quot;malgun gothic&quot;, dotum, arial, helvetica, &quot;MS Gothic&quot;, sans-serif; font-size: 16px; margin-bottom: 0px !important;"><br></p><p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AppleSDGothic, &quot;apple sd gothic neo&quot;, &quot;noto sans korean&quot;, &quot;noto sans korean regular&quot;, &quot;noto sans cjk kr&quot;, &quot;noto sans cjk&quot;, &quot;nanum gothic&quot;, &quot;malgun gothic&quot;, dotum, arial, helvetica, &quot;MS Gothic&quot;, sans-serif; font-size: 16px; margin-bottom: 0px !important;">우주의 나이는 138억 살, 지구의 나이는 45억 살. 그리고 인류가 우주를 과학적으로 이해해보려 시도한지는 약 2600년이 흘렀습니다. 이렇게 표현하면 도무지 감이 오질 않으니 이걸 한번&nbsp;환산해보면요,</p><p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AppleSDGothic, &quot;apple sd gothic neo&quot;, &quot;noto sans korean&quot;, &quot;noto sans korean regular&quot;, &quot;noto sans cjk kr&quot;, &quot;noto sans cjk&quot;, &quot;nanum gothic&quot;, &quot;malgun gothic&quot;, dotum, arial, helvetica, &quot;MS Gothic&quot;, sans-serif; font-size: 16px; margin-bottom: 0px !important;"><br></p><p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AppleSDGothic, &quot;apple sd gothic neo&quot;, &quot;noto sans korean&quot;, &quot;noto sans korean regular&quot;, &quot;noto sans cjk kr&quot;, &quot;noto sans cjk&quot;, &quot;nanum gothic&quot;, &quot;malgun gothic&quot;, dotum, arial, helvetica, &quot;MS Gothic&quot;, sans-serif; font-size: 16px; margin-bottom: 0px !important;"><span class="stb-bold stb-fore-colored" style="font-weight: bold; color: rgb(237, 111, 99);">1. 지구</span>&nbsp;: 만약 지난 월요일 자정에 지구가 탄생했다면, 인류가 우주를 이해하기 시작한 것은&nbsp;<span class="stb-bold" style="font-weight: bold;">이번주 일요일 밤 11시 59분 59.5초</span>부터라는 것입니다.</p><p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AppleSDGothic, &quot;apple sd gothic neo&quot;, &quot;noto sans korean&quot;, &quot;noto sans korean regular&quot;, &quot;noto sans cjk kr&quot;, &quot;noto sans cjk&quot;, &quot;nanum gothic&quot;, &quot;malgun gothic&quot;, dotum, arial, helvetica, &quot;MS Gothic&quot;, sans-serif; font-size: 16px; margin-bottom: 0px !important;"><br></p><p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AppleSDGothic, &quot;apple sd gothic neo&quot;, &quot;noto sans korean&quot;, &quot;noto sans korean regular&quot;, &quot;noto sans cjk kr&quot;, &quot;noto sans cjk&quot;, &quot;nanum gothic&quot;, &quot;malgun gothic&quot;, dotum, arial, helvetica, &quot;MS Gothic&quot;, sans-serif; font-size: 16px; margin-bottom: 0px !important;"><span class="stb-bold stb-fore-colored" style="font-weight: bold; color: rgb(237, 111, 99);">2. 우주</span>&nbsp;: 만약 지난 월요일 자정에 우주가 탄생했다면, 인류가 우주를 이해하기 시작한 것은 이번주&nbsp;<span class="stb-bold" style="font-weight: bold;">일요일 밤 11시 59분 59.9초</span>부터라는 것입니다. 혹시 제 계산이 틀렸다면 알려주세요.</p><p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AppleSDGothic, &quot;apple sd gothic neo&quot;, &quot;noto sans korean&quot;, &quot;noto sans korean regular&quot;, &quot;noto sans cjk kr&quot;, &quot;noto sans cjk&quot;, &quot;nanum gothic&quot;, &quot;malgun gothic&quot;, dotum, arial, helvetica, &quot;MS Gothic&quot;, sans-serif; font-size: 16px; margin-bottom: 0px !important;"><br></p><p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AppleSDGothic, &quot;apple sd gothic neo&quot;, &quot;noto sans korean&quot;, &quot;noto sans korean regular&quot;, &quot;noto sans cjk kr&quot;, &quot;noto sans cjk&quot;, &quot;nanum gothic&quot;, &quot;malgun gothic&quot;, dotum, arial, helvetica, &quot;MS Gothic&quot;, sans-serif; font-size: 16px; margin-bottom: 0px !important;">그러니까 마치 갓 태어난 아기가 첫 울음이 그치기도 전에 한 인간의 인생을 이해하고 그에 대한 책을 쓰려는 시도를 하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해도 되려나요?</p><p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AppleSDGothic, &quot;apple sd gothic neo&quot;, &quot;noto sans korean&quot;, &quot;noto sans korean regular&quot;, &quot;noto sans cjk kr&quot;, &quot;noto sans cjk&quot;, &quot;nanum gothic&quot;, &quot;malgun gothic&quot;, dotum, arial, helvetica, &quot;MS Gothic&quot;, sans-serif; font-size: 16px; margin-bottom: 0px !important;"><br></p><p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AppleSDGothic, &quot;apple sd gothic neo&quot;, &quot;noto sans korean&quot;, &quot;noto sans korean regular&quot;, &quot;noto sans cjk kr&quot;, &quot;noto sans cjk&quot;, &quot;nanum gothic&quot;, &quot;malgun gothic&quot;, dotum, arial, helvetica, &quot;MS Gothic&quot;, sans-serif; font-size: 16px; margin-bottom: 0px !important;"><span class="stb-underline" style="text-decoration-line: underline; font-size: 20px;"><span class="stb-bold" style="font-weight: bold;">결론</span></span></p><p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AppleSDGothic, &quot;apple sd gothic neo&quot;, &quot;noto sans korean&quot;, &quot;noto sans korean regular&quot;, &quot;noto sans cjk kr&quot;, &quot;noto sans cjk&quot;, &quot;nanum gothic&quot;, &quot;malgun gothic&quot;, dotum, arial, helvetica, &quot;MS Gothic&quot;, sans-serif; font-size: 16px; margin-bottom: 0px !important;">일단 너무 두껍긴 합니다. 하지만 책이라는 매체만으로 이 정도의 장엄함을 느낄 수 있다는 게 놀랍고, 흥미로운 부분이 아주 많기 때문에 천천히라도 꼭 읽어보시길 추천합니다.<br><br>예를 들면 피타고라스나 플라톤처럼 지금은 추앙받는 고대 학자들이 사실은&nbsp;<span class="stb-bold" style="font-weight: bold;">과학의 발전에 퇴보를 가져왔다</span>는 관점을 제시합니다. 무엇보다 결론 부분에서는 우리가 지구와 자연 환경을 왜 아껴야 하는지 역설하는데, 이 책이 1980년에 발행되었다는 점을 생각해보면 왜 우리는 40년이 넘은 아직까지도 같은 문제에서 더 나아지지 못했는지 돌아보게 되는 책입니다.</p>

제가 고등학생 때부터 줄곧 목표로 삼아온 것이 있는데요, 바로 칼 세이건의 <코스모스> 독파하기입니다. 책을 많이 읽지 않는 사람들도 한번쯤은 들어봤을만한 책이고, 저와 같이 책 욕심이 많은 사람은 언젠간 한번 꼭 읽어보고 싶은 책이기도 하죠.


가볍게 소개드리면, <코스모스>는 1980년에 출간된 고전이고 지금까지도 필수 교양서로 손꼽히는 책입니다. 천재성과 대중성을 모두 겸비한 천문학자 칼 세이건이 집필하였는데, 책을 읽어보시면 왜 그가 그토록 대중적인 인기가 많았는지 이해되기도 합니다.


그런데 사실 선뜻 시작하기 어려운 책이기도 합니다. 그 이유는 크게 두 가지인데요,


1. 어려운 주제. 우주는 늘 인간에게 호기심과 경외의 대상이었지만, 사실 대중이 쉽게 다가가기 어려운 존재이기도 합니다. 성간운, 퀘이사, 쌍성계, 상대성이론, 광학 기술, 초신성, 은하단, 핵융합 반응 등, 책의 아무 페이지나 펼쳐 나오는 단어를 나열해봐도 머리가 지끈거립니다.


2. 두께. 1번보다 더 큰 이유입니다. 이 책은 무려 700쪽에 달하거든요. 엄청난 유명세에 호기심이 생기다가도 그 두께에 지레 겁먹고 포기하게 됩니다.


하지만 이 책에 먼지만 덮어씌워 놓는 것이 늘 제 마음 속에서 부채처럼 자리하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무려 3개월 동안 천천히, 조금씩 읽었고 드디어 지난 달에 마지막 페이지를 넘겼습니다. 19살 때 세운 목표를 30살이 되어서야 이뤘네요.


이 책을 읽으며 정말 많은 것을 느꼈는데요, 세 가지 키워드로 소개드리려 합니다.


1. 관점

대다수의 사람들은 보통 ‘나’라는 한 개인의 관점으로만 세상을 바라봅니다. 여기서 조금 더 확장하면 ‘인간’이라는 종의 관점으로 세상을 바라볼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보면 또 다르게 보이는 것들이 있어요. 저는 유발 하라리의 <사피엔스>를 한 다섯 번 읽고 이런 관점이 조금이나마 생긴 것 같습니다. <사피엔스>는 호모 사피엔스의 역사를 다룬 책이고 저의 인생책 중 하나입니다.


예를 들면 이런 게 있습니다.


미국이 영국의 식민지였을 때, 미국의 독립선언서를 작성한 사람들 중 대다수가 흑인 노예 소유주였다고 해요. 이 부분이 저에게는 충격이었습니다. '아니 미국인들에게 정의를 가져다준 그들이 그렇게나 나쁜 사람이었다니!'가 아닙니다. 그 당시에는 흑인 노예를 소유하는 것이 정의로운 것과는 별개였다는 사실 때문입니다.


그러니까 이런 겁니다. 지금의 관점으로는 흑인을 노예로 소유한다는 것은 상상조차 할 수 없는 일입니다. 그렇다면 과거 미국 독립선언서에 서명을 한 사람들이 악한 사람들이었기 때문에 흑인 노예를 소유하고 있던 걸까요? 유발 하라리는 그렇지 않다고 말합니다. 그들이 악한 사람들인 것이 아니라, 당시에는 그게 당연했다는 겁니다. 그러니까 흑인 노예를 소유하는 것은 옳고 그름의 영역이 아니었다는 것이죠.


이 내용이 저에게는 관점을 크게 확장시켜주는 부분이었습니다. 그렇다면 오늘날 우리가 당연하게 행하고 있는 것들 중에서도 먼 미래에 명백히 부도덕한 행위라고 여겨지는 것이 있지 않을까요? 반대로, 지금 우리가 옳지 않다고 생각하는 것들이 미래에는 칭송받을 수도 있지 않을까요?


이렇게 긴 역사의 관점으로 보면, 지금 우리가 당연하다고 여기는 것들이 결코 당연하지 않을 수도 있다고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사실 온 우주를 통틀어 보면, <사피엔스>를 통해 얻어지는 인류의 관점이라는 것 역시 너무 사소하고 단편적입니다. 그보다 훨씬 큰 우주의 관점(이라고 하면 사이비처럼 들리지만)을 보여주는 책이 있으니 그게 바로 칼 세이건의 <코스모스>입니다. 우주는 우리가 감히 상상할 수 있는 것보다 훨씬x100 거대하기 때문에, 이런 관점을 접해보는 것은 사고에 많은 영향을 미칩니다.


2. 과학

책에서 특히 흥미로웠던 부분은, 우주는 우리가 인지할 수 있는 수준을 넘을 만큼 거대하지만 그럼에도 인간의 사고로 유추해볼 수는 있다는 것입니다. 그 이유는 우주는 제아무리 구석진 곳이어도 그게 어디든 공통되고 근본적인 원리에 입각해 꽤나 많은 부분을 예측할 수 있기 때문이죠(=과학). 적어도 논리적으로 추론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참고로 “코스모스”란 일련의 규칙, 질서를 뜻합니다.

아주 옛날부터 인간은 우주에 대한 온갖 상상을 해왔는데, 과학을 통해 훌륭하게 추론해낼 수 있습니다. 우주 저 멀리에는 무엇이 있는지, 아주 먼 과거의 우주는 어땠는지, 아주 먼 미래의 우주는 어떨지까지도요.

비유하자면 완전히 깜깜하고 끝도 없이 깊은 동굴을 바라보고 서있는데, 직접 들어가보지 않고도 수학과 과학과 논리만으로 그 안에 뭐가 있는지 대략적으로 맞출 수 있다는 겁니다. 경이롭지 않나요?

기초 학문의 매력이 여기에 있는 것 같습니다. 사실 인간이 만들어내는 건 다 일시적입니다. 예를 들어 우리가 그토록 위대하다고 얘기하는 애플, 아마존 같은 기업들마저도 모두 한 순간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존재에 불과하죠. 아주 길게 보면, 인간이 만들어낸 모든 것은 이내 사라지고 또 다른 게 생기고 사라지는 라이프사이클을 따릅니다. 그게 문명이든 국가든 기업이든 예외는 없습니다. 누구는 그래서 아름답다고도 하지만 그래서 허무하기도 합니다.

그런데 과학적 지식은 그렇지 않습니다. 우주의 원리에 대한 우리의 지식은 오직 누적되기만 합니다. 소멸하지 않습니다. 인간이 과학을 잘못 이해하여 돌아갈 수는 있을지언정, 발견한 것이 사라지지는 않습니다. 물리 원칙은 늘 그 자리에 있기 때문에 우리는 그걸 밝혀내기만 하면 되는 것이죠.

이를 위해 책에서는 “과학은 스스로에게 끊임없이 질문을 던지고 제안의 사실 여부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하고 관찰한다“고 말합니다. 깊이 인상적인 문장이었습니다.


3. 인간

인간은 진짜 미미한 존재입니다. 우주의 관점에서 봤을 때 정말 먼지만도 못한 존재입니다. 칼 세이건의 표현을 빌리면 인간은 “10억 분의 1도 채 안 되는 짧은 시간 동안 반짝하고 사라지는” 우스울 정도로 하찮은 존재에 불과합니다. 그런데 그래서 더욱더 대단한 점이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자신이 감히 인식할 수 없는 규모를 이해하려고 하는 시도입니다. 정말 찰나의 순간만을 살다 가는 인간이, 이 광활한 우주에서 너무도 취약한 존재인 인간이 자신이 살고 있는 우주 전체를 이해하려 한다는 것이죠. 그게 정말 놀라운 점입니다.


우주가 탄생한 시점이라고 불리는 빅뱅은 138억년 전에 일어났습니다. 지구의 나이는 약 45억 살입니다. 최초의 인류라고 불리는 오스트랄로피테쿠스가 지구에 처음 등장한 시점은 300만~350만년 전입니다. 인류가 우주를 '과학적인 방법으로' 이해해보려는 시도를 처음 시작한 건 기원전 6세기 이오니아에서입니다. 그래서 칼 세이건은 "과학은 이오니아에서 태어났다"고 말합니다. 


우주의 나이는 138억 살, 지구의 나이는 45억 살. 그리고 인류가 우주를 과학적으로 이해해보려 시도한지는 약 2600년이 흘렀습니다. 이렇게 표현하면 도무지 감이 오질 않으니 이걸 한번 환산해보면요,


1. 지구 : 만약 지난 월요일 자정에 지구가 탄생했다면, 인류가 우주를 이해하기 시작한 것은 이번주 일요일 밤 11시 59분 59.5초부터라는 것입니다.


2. 우주 : 만약 지난 월요일 자정에 우주가 탄생했다면, 인류가 우주를 이해하기 시작한 것은 이번주 일요일 밤 11시 59분 59.9초부터라는 것입니다. 혹시 제 계산이 틀렸다면 알려주세요.


그러니까 마치 갓 태어난 아기가 첫 울음이 그치기도 전에 한 인간의 인생을 이해하고 그에 대한 책을 쓰려는 시도를 하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해도 되려나요?


결론

일단 너무 두껍긴 합니다. 하지만 책이라는 매체만으로 이 정도의 장엄함을 느낄 수 있다는 게 놀랍고, 흥미로운 부분이 아주 많기 때문에 천천히라도 꼭 읽어보시길 추천합니다.

예를 들면 피타고라스나 플라톤처럼 지금은 추앙받는 고대 학자들이 사실은 과학의 발전에 퇴보를 가져왔다는 관점을 제시합니다. 무엇보다 결론 부분에서는 우리가 지구와 자연 환경을 왜 아껴야 하는지 역설하는데, 이 책이 1980년에 발행되었다는 점을 생각해보면 왜 우리는 40년이 넘은 아직까지도 같은 문제에서 더 나아지지 못했는지 돌아보게 되는 책입니다.

💌 매주 목요일 오전, 생각할거리를 보내드려요.

👀 이런 콘텐츠도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