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유퀴즈 클립입니다. 부산지방법원 동부지원의 박주영 판사님이십니다. 저는 평소 <b>옳고 그름</b>에 대한 생각을 많이 하는데요, 쉽게 말해 ‘<b>이거 이렇게 해도 되나?</b>’에 대한 고민이죠. 제가 특별히 도덕적인 사람이어서 그런 것은 당연히 아니구요, 그저 부끄럽지 않은 삶을 살고 싶기 때문입니다.</p><p><br></p><p>박주영 판사님은 <b>정의, 선 이런 개념들이 중요하지만 추상적이고 모호하다</b>고 말씀하십니다. 그래서 이런 것들을 추구하다가 헤매는 경우가 많다고 해요. 그 이유는 선과 악의 경계가 무척 모호하기 때문입니다.</p><p>우리는 선과 악을 분명히 구분할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우리 머릿속에 쉽게 떠오르는 선과 악은 대개 명백한 예시들입니다. 누가 봐도 선, 누가 봐도 악인 경우들이죠. <b>하지만 현실에는 선과 악 그 경계에 있는 상황들이 너무도 많습니다.</b></p><p>이러한 모호함 때문에 결국 ‘무엇이 옳은 거지?’에 대한 고민을 포기하게 된다고 해요.</p><p><br></p><p><b><span style="font-size: 18px;">정의는 어렵다</span></b></p><p>대학생 때 &lt;On Justice&gt;라는 교양 수업을 들었습니다. 마이클 센델의 &lt;정의란 무엇인가&gt;라는 책을 원서로 읽고 토론하는 수업이었는데 토할 뻔한 게 한두 번이 아닙니다. 아무튼 제 4.5년의 대학생활 중 가장 좋았던 강의였습니다.</p><p><b>그 수업은 매번 어려워졌습니다.</b> 가령 이런 거예요. 이번 시간에 A라는 개념을 배웠습니다. 그럼 ‘아, 이게 도덕이구나. 선과 악의 기준은 A구나'를 깨닫고 집에 돌아갑니다. 그리고 다음 시간이 되면 교수님은 그것을 반박하는 이론 B를 가져옵니다. 그럼 ‘아, A가 아니고 B였구나' 하고 집에 돌아갑니다. 그리고 그 다음 시간이 되면 역시나, 교수님은 그것을 반박하는 이론을 가져옵니다.</p><p><br></p><p>그래서 결국 그 수업 끝에 얻은 결론은 ‘<b>정해진 답은 없다</b>'입니다. 판사님이 말씀하신 것처럼 헤매게 된 것이죠. 그런데 이게 당연하다고 생각합니다. 무엇이 옳고 그른지에 대한 문제를 이론적으로 접근하면 결국 정답은 없거든요.</p><p><br></p><p><b><span style="font-size: 18px;">이상과 현실의 괴리</span></b></p><p>수업 내용으로는 가령 이런 게 있었습니다. 첫 번째 수업에서 ‘<b>다수의 행복이 극대화되는 선택을 하는 것이 도덕적인 것이다</b>'라는 이론(공리주의)를 배웁니다. 맞는 말이죠. 그래서 아, 어떻게든 많은 사람들이 혜택을 보는 것이 옳은 선택이구나, 라는 생각을 갖게 됩니다.</p><p>그런데 다음 시간에 교수님이 이를 반박합니다. 그럼 100명의 행복을 위해 1명을 희생시키는 것이 정당한가? 그건 또 아닌 것 같습니다. 그래서 <b>개개인은 (남들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 선에서) 자신이 옳다고 생각하는 선택을 내리는 것이 옳다</b>는 이론을 배웁니다. 그럼 또 아, 이게 도덕의 기준이 되어야 하는구나, 라는 생각을 갖게 됩니다.</p><p>그런데 다음 시간에 교수님이 또(!) 이를 반박합니다. 그럼 선의의 거짓말은 정당화되어도 되는가? 칸트는 모든 거짓말은 부도덕하다고 했습니다. 세상 모든 사람들이 거짓말을 하면 그 사회는 유지될 수 없기 때문이죠. 그러면서 이런 예시를 듭니다. 만약 누군가가 우리집 문을 두드리며, 누가 자신을 해치려고 쫓아오는데 좀 숨겨줄 수 있겠냐고 합니다. 그래서 숨겨줬습니다. 그런데 그 괴한이 우리집을 찾아와 그 사람이 여기에 있냐고 물으면? 칸트는 사실대로 말하는 것이 도덕적인 선택이라고 합니다. <b>하지만 현실에서도 그럴 수 있을까요? 아니라는 겁니다.</b></p><p><br></p><p><b><span style="font-size: 18px;">염치로 판단하기</span></b><br></p><p>이렇게 도덕은 철학적으로만 접근하면 머리만 아픕니다. 박주영 판사님도 이러한 맥락에서 말씀하신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b>이러한 모호함 때문에 결국 우리는 ‘무엇이 옳은 거지?’에 대한 고민을 포기한다고 합니다</b>.</p><p><br></p><p>도덕철학(윤리학)은 나름의 중요한 의미가 있겠지만, 우리 삶에 간편하게 적용하기에는 너무도 모호하고 이상적인 것이 사실입니다. 그래서 박주영 판사님은 우리가 바로 느낄 수 있는 ‘<b>염치</b>'로 판단해야 한다고 합니다. 모든 것에 엄밀한 잣대를 들이밀기엔 도덕이 너무 어려우니, <b>내가 이 행동을 했을 때 부끄러움을 느끼는가?</b>&nbsp;라는 질문으로 옳고 그름을 어느 정도 판단하자는 것이죠.</p><p><br></p><p>많은 울림을 주는 영상이니 꼭 보시길 추천드립니다.</p>

염치에 따라 살기

원문으로 
👈👆 인상깊게 본 콘텐츠예요.

유퀴즈 클립입니다. 부산지방법원 동부지원의 박주영 판사님이십니다. 저는 평소 옳고 그름에 대한 생각을 많이 하는데요, 쉽게 말해 ‘이거 이렇게 해도 되나?’에 대한 고민이죠. 제가 특별히 도덕적인 사람이어서 그런 것은 당연히 아니구요, 그저 부끄럽지 않은 삶을 살고 싶기 때문입니다.


박주영 판사님은 정의, 선 이런 개념들이 중요하지만 추상적이고 모호하다고 말씀하십니다. 그래서 이런 것들을 추구하다가 헤매는 경우가 많다고 해요. 그 이유는 선과 악의 경계가 무척 모호하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선과 악을 분명히 구분할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우리 머릿속에 쉽게 떠오르는 선과 악은 대개 명백한 예시들입니다. 누가 봐도 선, 누가 봐도 악인 경우들이죠. 하지만 현실에는 선과 악 그 경계에 있는 상황들이 너무도 많습니다.

이러한 모호함 때문에 결국 ‘무엇이 옳은 거지?’에 대한 고민을 포기하게 된다고 해요.


정의는 어렵다

대학생 때 <On Justice>라는 교양 수업을 들었습니다. 마이클 센델의 <정의란 무엇인가>라는 책을 원서로 읽고 토론하는 수업이었는데 토할 뻔한 게 한두 번이 아닙니다. 아무튼 제 4.5년의 대학생활 중 가장 좋았던 강의였습니다.

그 수업은 매번 어려워졌습니다. 가령 이런 거예요. 이번 시간에 A라는 개념을 배웠습니다. 그럼 ‘아, 이게 도덕이구나. 선과 악의 기준은 A구나'를 깨닫고 집에 돌아갑니다. 그리고 다음 시간이 되면 교수님은 그것을 반박하는 이론 B를 가져옵니다. 그럼 ‘아, A가 아니고 B였구나' 하고 집에 돌아갑니다. 그리고 그 다음 시간이 되면 역시나, 교수님은 그것을 반박하는 이론을 가져옵니다.


그래서 결국 그 수업 끝에 얻은 결론은 ‘정해진 답은 없다'입니다. 판사님이 말씀하신 것처럼 헤매게 된 것이죠. 그런데 이게 당연하다고 생각합니다. 무엇이 옳고 그른지에 대한 문제를 이론적으로 접근하면 결국 정답은 없거든요.


이상과 현실의 괴리

수업 내용으로는 가령 이런 게 있었습니다. 첫 번째 수업에서 ‘다수의 행복이 극대화되는 선택을 하는 것이 도덕적인 것이다'라는 이론(공리주의)를 배웁니다. 맞는 말이죠. 그래서 아, 어떻게든 많은 사람들이 혜택을 보는 것이 옳은 선택이구나, 라는 생각을 갖게 됩니다.

그런데 다음 시간에 교수님이 이를 반박합니다. 그럼 100명의 행복을 위해 1명을 희생시키는 것이 정당한가? 그건 또 아닌 것 같습니다. 그래서 개개인은 (남들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 선에서) 자신이 옳다고 생각하는 선택을 내리는 것이 옳다는 이론을 배웁니다. 그럼 또 아, 이게 도덕의 기준이 되어야 하는구나, 라는 생각을 갖게 됩니다.

그런데 다음 시간에 교수님이 또(!) 이를 반박합니다. 그럼 선의의 거짓말은 정당화되어도 되는가? 칸트는 모든 거짓말은 부도덕하다고 했습니다. 세상 모든 사람들이 거짓말을 하면 그 사회는 유지될 수 없기 때문이죠. 그러면서 이런 예시를 듭니다. 만약 누군가가 우리집 문을 두드리며, 누가 자신을 해치려고 쫓아오는데 좀 숨겨줄 수 있겠냐고 합니다. 그래서 숨겨줬습니다. 그런데 그 괴한이 우리집을 찾아와 그 사람이 여기에 있냐고 물으면? 칸트는 사실대로 말하는 것이 도덕적인 선택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현실에서도 그럴 수 있을까요? 아니라는 겁니다.


염치로 판단하기

이렇게 도덕은 철학적으로만 접근하면 머리만 아픕니다. 박주영 판사님도 이러한 맥락에서 말씀하신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이러한 모호함 때문에 결국 우리는 ‘무엇이 옳은 거지?’에 대한 고민을 포기한다고 합니다.


도덕철학(윤리학)은 나름의 중요한 의미가 있겠지만, 우리 삶에 간편하게 적용하기에는 너무도 모호하고 이상적인 것이 사실입니다. 그래서 박주영 판사님은 우리가 바로 느낄 수 있는 ‘염치'로 판단해야 한다고 합니다. 모든 것에 엄밀한 잣대를 들이밀기엔 도덕이 너무 어려우니, 내가 이 행동을 했을 때 부끄러움을 느끼는가? 라는 질문으로 옳고 그름을 어느 정도 판단하자는 것이죠.


많은 울림을 주는 영상이니 꼭 보시길 추천드립니다.

💌 매주 목요일 오전, 생각할거리를 보내드려요.

👀 이런 콘텐츠도 있어요.